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 산행 준비법 : 방한용품, 코스 추천, 안전

by 리프피 2025. 1. 12.

겨울 산행 관련 사진

겨울 산행 필수 방한용품

겨울 산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방한용품입니다. 추운 날씨와 강한 바람 속에서도 체온을 잃지 않으려면 적절한 방한 장비가 필수입니다. 특히 MZ세대는 기능성뿐만 아니라 세련된 스타일을 중시하는 만큼 패션과 실용성을 모두 고려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겨울 등산복과 아우터
겨울 산행을 위해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은 바로 등산복입니다. 얇은 옷을 여러 겹 겹쳐 입는 "레이어링" 방식이 체온 유지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첫 번째 이너웨어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할 수 있는 기능성 속옷을 착용해야 하며, 중간 레이어는 보온 효과가 높은 플리스나 울 재질을 추천합니다. 마지막 아우터로는 방수나 방풍 기능이 포함된 고어텍스 재질의 재킷을 선택하세요. 이 재킷은 비와 눈을 막아줄 뿐 아니라 강한 바람으로부터 몸을 보호해 줍니다.

(2) 방한용 장갑과 모자
체온은 주로 머리와 손끝에서 빠르게 손실됩니다. 때문에 장갑과 모자는 산행 시 필수 아이템입니다. 장갑은 두꺼운 방한용 장갑을 기본으로 하며 스마트폰 터치가 가능한 장갑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귀를 덮는 니트 모자나 방한모자를 착용해 체온 유출을 막아주세요.

(3) 방한 신발과 아이젠
겨울 산행의 미끄러운 얼음길과 눈길을 안전하게 걷기 위해서는 방한 등산화와 아이젠이 필수적입니다. 방수 처리된 등산화는 눈이 녹아도 발이 젖지 않도록 보호하며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밑창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이젠은 등산화 위에 간단히 착용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안전한 발걸음을 돕습니다.

(4) 기타 방한 아이템: 핫팩과 보온병
겨울 산행 중 잠시 쉬거나 체온이 떨어질 때는 핫팩과 보온병이 유용합니다. 핫팩은 손과 발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보온병에 담긴 따뜻한 차나 커피는 추위를 이겨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최근에는 MZ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디자인의 보온병과 핫팩 케이스가 출시되어 기능성은 물론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MZ세대를 위한 겨울 산행 코스 추천

MZ세대가 겨울 산행을 선택하는 이유 중 하나는 특별한 경험을 사진으로 남기고 SNS에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겨울 산행은 눈꽃, 얼어붙은 계곡, 설산의 경이로움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MZ세대의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세 가지 대표적인 겨울 산행 코스를 추천합니다.

(1) 설악산: 대청봉 코스
설악산은 겨울 산행의 대표적인 명소로, 특히 대청봉 코스는 멋진 설경과 눈꽃 나무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이 코스는 해발 1,708m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어 난도가 높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추천됩니다. 초보자라면 케이블카를 이용해 권금성 주변의 눈꽃 산행을 즐기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산행 후 설악산 인근의 온천을 방문해 몸을 따뜻하게 풀어보세요.

(2) 지리산: 반야봉 코스
지리산은 접근성이 좋아 초보자들에게 적합한 코스가 많습니다. 반야봉 코스는 상대적으로 쉬운 난이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출 명소로도 유명합니다. 특히, 겨울 일출은 하얀 설산과 어우러져 잊을 수 없는 장관을 선사합니다. 이 코스는 체력 부담이 적어 MZ세대 초보 산행객들에게 추천됩니다.

(3) 한라산: 영실 코스
한라산은 제주의 독특한 겨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입니다. 특히 영실 코스는 비교적 짧은 산행 시간으로 완주할 수 있어 시간적 여유가 적은 여행객에게 적합합니다. 정상인 백록담까지 도전하려면 사전에 날씨를 철저히 확인하고, 적합한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외에도 서울 근교의 북한산이나 도봉산은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어 바쁜 직장인들에게 추천됩니다.

겨울 산행의 안전 꿀팁

겨울 산행은 아름다운 만큼 위험도 존재합니다. 특히 초보 산행자라면 철저한 사전 준비와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입니다.

(1) 체온 유지
겨울 산행 중 가장 큰 위험은 저체온증입니다. 땀을 흘리며 젖은 상태로 추운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저체온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땀이 날 때마다 옷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여분의 이너웨어를 준비하세요.

(2) 산행 시간 관리
겨울철에는 해가 빨리 지기 때문에, 오전 일찍 산행을 시작해 오후 3시 이전에 하산해야 안전합니다.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해 헤드랜턴과 여분의 배터리를 준비하세요.

(3) 비상 상황 대비
눈길이나 얼음길에서 발을 헛디뎌 부상을 입는 경우를 대비해 구조 요청이 가능한 휴대폰과 GPS 장치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고열량 비상식량(초콜릿, 견과류, 에너지바 등)을 항상 휴대하세요.

(4) 날씨 확인
산행 전날 기상청에서 폭설, 강풍, 기온 등 날씨 정보를 확인하세요. 산행 당일 날씨가 좋지 않을 경우, 계획을 연기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입니다. 안전은 항상 최우선이니 날씨 확인은 필수입니다!